C E N T E R - G W A N G J U
광주한국병원은 고객의 건강과 행복을
지켜가고 있습니다.
사람들의 80%가 일생에 한 번 정도 경험할만큼 흔한 척추질환, 잘못하면 만성질병이 될 수 있는 만큼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초기에 잘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디스크(경추 추간판 탈출증)
01
정의
how to
목의 뼈는 7개가 있는데, 이 사이사이에 추간판이 위치하여 목 뼈에 걸리는 몸무게를 골고루 분산시켜 목 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뼈가 서로 닿지 않도록 합니다. 경추 사이의 디스크가 빠져나와 목으로 지나가는 척추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02
증상
how to
뒷목 및 어깨 상부의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병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 어깨와 팔의 통증이나 약화가 발생하기도 하고, 심한 경우 척추에 손상을 줘서 다리의 힘이 약해지거나 마비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03
원인
how to
목 디스크는 허리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일종의 퇴행성 변화로 인하여 시작됩니다. 보통 20세 이후에는 디스크의 퇴행성변화가 오기 시작하면서 디스크내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여 탄력성이 감소되고 가벼운 외상이나 장시간 좋지 않은 자세에 의하여 디스크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신경을 압박하게 되면 목 디스크가 발병하게 됩니다.
04
진단
how to
X-ray
CT
MRI(자기공명영상검사)
근전도 검사
05
치료
how to
가벼운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약물치료, 보조기 사용으로 충분하며 온열치료, 심부 초음파 치료, 전기 자극치료, 경추부견인 등의 물리치료가 효과적이며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요합니다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
3개월 이상의 비수술적 치료를 하여도 효과가 없는 경우
통증이 심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이 많은 경우
신경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근력약화가 동반되어 있는 경우
간판의 탈출로 중추신경인 척수가 압박 받아 척수증이 있는 경우
06
목에 좋은 자세
how to
잘 때에는 가능하면 낮고 말랑말랑한 베개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책을 읽을 때에는 책상위에 책 받침대를 사용하여 눈높이에 책이 위치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TV나 모니터 앞에 너무 오래 앉아 있거나 한 곳을 응시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30분에서 1시간마다 가볍게 목을 뒤로 젖히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07
목에 좋지 않은 자세
how to
무거운 짐을 머리 위에 이는 것, 머리를 바닥에 대고 물구나무 서는 것, 군대갔다 온 분들은 알겠지만 원산폭격 자세 등은 좋지 않습니다. 또한 목을 옆으로 세게 회전시키면 목에서 우두둑 소리가 나면 시원하다고 하는 분들은 이를 반복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이는 목의 관절이 일부 어긋나면서 뼈가 마찰되어 나는 소리가 자꾸 반복하는 경우 관절에서 뼈가 웃자라나 신경을 압박하게 되는 것입니다.
허리디스크(요추 추간판 탈출증)
01
정의
how to
디스크(추간판)는 척추뼈와 연결해주는 강한 연결 조직이며, 척추뼈 사이의 쿠션 역할(충격 흡수 기능)을 합니다. 퇴행성 변화나 외상 등에 의해서 디스크 안에 있는 수핵이 외부 층에 있는 섬유륜의 틈을 통해 빠져 나가게 되면 주위의 신경을 압박하고, 그 주위에 염증 반응이 일어나서 신경을 자극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합니다.
02
검사
how to
하지 직거상 검사(똑바로 누운 자세에서 무릎을 편 상태로 다리를 들어올려보는 검사)
X-ray
MRI
CT
척추관 조영술
근전도 검사
03
치료
how to
대부분의 환자들 (80~90%)은 수술을 받지 않아도 저절로 증상이 좋아지며 매우 심한 통증이나 마비를 동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사들은 대개 첫 2-3주 동안은 비수술적 치료를 권장합니다. 충분한 치료를 받고 나도 정상 생활을 하기 힘들 정도로 통증이 지속된다면 수술을 고려해 보게 됩니다. 수술은 대개 다리 통증의 완화를 목적으로 하며, 성공률은 90%이상 입니다.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
단기간의 휴식(안정)이나 약물치료, 물리치료, 운동요법, 경막 외 스테로이드 주사요법, 신경근 차단술 등
약물치료
소염제, 근이완제 등
물리치료
초음파, 전기자극, 핫팩, 콜드팩, 마사지, 견인치료 등
운동요법
스트레칭 등
척추측만증
01
정의
how to
척추측만증이란 허리가 S자형으로 휘어지는 척추의 변형으로 골반이나 어깨의 높이가 서로 다르거나 몸통이 한쪽으로 치우쳐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 발생 빈도 : 전체 인구의 약 2%-3% 정도에서 나타납니다.
02
원인
how to
대부분의 경우(85-90%)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음
뇌성마비, 근육마비, 소아마비, 선천성척추이상 등에 발생되기도 함
유전적 관련성은 가족 중 척추측만증이 있을 경우 발생율은 20% 정도로 일반적인 발생율 2%에 비하여 높음
03
증상
how to
어깨의 높이가 달라짐(유방의 크기도 달라보이게 됨)
허리 곡선이 비대칭
허리를 잘 숙이지 못함
척추의 유연성 감소
04
진단
how to
양측 어깨의 높이 차이, 유방의 높이나 크기 차이, 등을 앞으로 구부리게 하는 등으로 집에서 간단하게 검사 가능
폐결핵 검진이나 신체검사를 위한 흉부 엑스선 촬영에서 발견되기도 함
경추 내시경 수술
01
정의
how to
경추 내시경 수술은 절개 없이 한개의 구멍을 만들어 내시경을 이용해 병의 원인이 되는 병변을제거합니다.
단방향 내시경 수술은 양손을 이용해 한쪽 내시경을 이용해 내부를 확대하여 수술 시야를 확보하고, 수술기구를 좀더 다양한 각도로 움직여 기존 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더욱 정밀하고 정확한 수술이 가능 하게 되었습니다.
02
장점
how to
흉터가 거의 생기지 않습니다.
입원 기간이 짧아 일상 생활 복귀가 빠릅니다.
척추 불안정과 같은 후유증이 드뭅니다.
수혈할 필요가 없습니다. 치료 후 재활이 필요 없습니다.
신경경막외출혈이나 신경주위의 유착이 적습니다.
03
대상
how to
목, 어깨, 팔에 통증 및 신경 이상이 나타난 외측으로 탈출된 목 디스크 환자
04
수술 후 관리
how to
당일 - 치료 후 목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서고 걷고 앉을 수 있습니다.
헤모백(수술 부분 혈종 제거 도관)이 제거 되면 퇴원 할 수 있습니다. 평균 입원 일은 3일정도 입니다.
가급적 목을 지나치게 움직이는 자세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경의 빠른 회복을 위해 무통증신경치료(pain scrambler )를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3일 - 퇴원이 가능합니다. 퇴원 시 지급한 약은 염증 예방 등을 위해 꼭 복용해야 합니다.
직장이나 학교에 나갈 수 있으며 보조기를 푼 상태에서 상처 부위 물이 닿지 않게 머리 감기나 샤워가 가능합니다.
퇴원 전 수술 결과 확인을 위해 MRI 촬영을 할 수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신경 불편 증상이 있을 수 있지만 점차 회복 됩니다.
7일 - 수술 부위 실밥을 제거하기 위해 병원에 내원해야 합니다.
2주 - 정상적인 직장 근무가 가능합니다. 무리한 운동(골프, 등산)은 피하세요.
가벼운 스트레칭은 가능합니다. 통증이 남아 있을 경우 추가적인 약물요법, 통증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척추내시경
01
정의
how to
단방향,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이란? 어깨나 무릎 관절경 수술에서 척추 수술 영역으로 유래한 수술 방법으로 허리디스크, 협착 증으로 디스크가 탈출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약 7mm 내외로 1~2개의 구멍을 뚫어 특수 제 작된 미세 내시경과 수술 기구를 삽입하여 치료하는 수술 방법입니다. 구멍 하나로 하면 단 방향, 두 개가 필요하면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이라고 합니다. 최근 내시경 장비 및 영상 장비의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여 현미경 척추 수술을 점차 대체해가고 있는 수술법입니다.
02
장점
how to
7mm 내외의 작은 절개 1, 2개 만으로 치료하기 때문에 출혈과 감염, 합병증의 위험이 극히 적습니다. 양방향으로 삽입된 미세 내시경과 수술 기구들은 정상 조직인 근육과 인대를 거 의 손상하지 않고 병변 부위에 접근합니다. 파열된 디스크 부위에 내시경 카메라를 직접 넣 고 보면서 병변 부위를 바로 제거하기 때문에 기존 수술 현미경보다 매우 크게 확대해서 보 는 것이 가능하며 정밀한 수술이 가능합니다. 대부분 전신마취가 필요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척추 마취나 국소마취로 시행할 수도 있어 노약자나 당뇨 환자도 부담 없이 수술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수술 후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며 감염률이 적습니다. 연부 조직 감염률 0.4%, 심부 감염률 0.12%로 일반 척추 수술보다 감염률이 낮습니다. 또한 수혈이 필요하지 않습니 다. 미세 침습으로 출혈이 거의 없어 별도의 수혈이 필요하지 않은 수술입니다.
03
수술
how to
침대에 배를 대고 엎드린 자세로 수술하게 되며, 환자 상태에 따라 전신 마취 혹은 척추 마 취로 수술합니다.
디스크 조각이 제거된 후 디스크 공간이 일부 비어 있다고 해서 어떤 물질로 채우거나 하 지는 않습니다.
단방향 또는 양방향 내시경과 수술 기구를 삽입하여 직접 뼈를 제거하고 디스크 조각을 제 거합니다.
04
대상
how to
진단 후 3개월 이상 치료 효과가 없는 연성 추간판 탈출증, 황색 인대 비후 등에 의한 중심 성 요추 척추관 협착증
3일 이상 통증으로 잠을 이룰 수 없고 보행에 심한 장애가 온 요추 연성 추간판 탈출증 및 협착증
수차례 경막외강 신경성형술 및 풍선확장술에 반응 없거나 재발한 요추 디스크 탈출증 및 협착증
고령이나 만성 질환으로 수술이 부담스러운 환자
05
수술 전&후
주의사항
how to
환자에 따라 수술 후 재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작은 수술 기구를 사용하는 만큼 5~10% 확률로 디스크 조각이 남아 현미경 디스크 수술로 전환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차례 경막외강 신경성형술 및 풍선확장술에 반응 없거나 재발한 요추 디스크 탈출증 및 협착증
고령이나 만성 질환으로 수술이 부담스러운 환자
풍선 성형술
01
정의
how to
척추체 풍선성형술은 풍선척추성형술은 특별하게 제작된 풍선이 달린 바늘을 척추체내로 삽 입 후 풍선을 부풀림으로써 척추체가 주저앉은 것을 들어 올려 척추체를 복원하는 원리의 수술입니다. 다음 단계로 풍선이 만들어 놓은 공간에 골 시멘트(Ploymethylmethacrylate)를 채워 척추체를 정상에 가까운 모양으로 복원해 등을 곧게 펴주는 시술입니다.
02
장점
how to
전신마취가 필요 없고 국소마취로 가능
절개하지 않아 흉터가 거의 없고 합병증 위험이 적음
고령이나 고혈압, 당뇨병 등 있어도 안전하게 가능
특수 풍선을 사용하여 주저앉은 척추체 복원 가능
짧은 시술시간 및 회복이 빠르고 조기보행이 가능
03
대상
how to
낙상, 사고 등 외상으로 인한 경우
골다공증으로 인한 경우
골 괴사로 인한 경우
척추혈관종, 원발성 척추종양으로 인한 경우